연구개발

Research Focus

우리 연구소는 바이러스 만성감염 및 종양에서 T 세포 활성제어, 신종 병원체에 대한 팬데믹 대응을 위한 면역백신 연구를 통해 감염병에 새로운 대안방향을 제시합니다.

1. T 세포 활성 제어

지속적인 항원 자극에 따른 면역세포의 기능 소멸 (exhaustion)

바이러스 만성감염 및 종양과 같이, 지속적인 항원 자극의 결과로 면역세포의 기능이 소멸 (exhaustion)된다.

면역관문억제제 (immune checkpoints inhibitor) 의 한계

면역세포의 기능 소멸 과정에 관여하는 세포 표면 단백질, 즉 면역점검점(면역 체크포인트, immune checkpoints; CTLA-4, PD-1, CD160, Lag3, 2B4, 4-1BB)이 발굴되었고, 면역항암치료제 또는 중화항체 (예, anti-PD1 Abs, anti-CTLA4 Abs 등)를 이용하여 체내 면역기능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여러 가지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면역관문억제제는 대부분의 암종에서 다양한 이유로 한계를 보이고 있어 새로운 치료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exhausted CD8+ T 세포’의 기능회복; OMICS 기반 연구 & 바이러스 감염 동물실험

우리 연구소는 OMICS 기반 연구와 바이러스 감염을 이용한 동물실험 연구를 통해 만성감염 및 암미세환경에서 면역세포의 기능이 상실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Master 조절인자’를 확인하여 상실 된 면역기능을 회복시키는 획기적이고 새로운 면역세포치료제의 방향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현재 사용 중인 다양한 면역관문억제제를 대체할 가능성을 기대합니다.

2. 면역백신

백신이 만든 강력한 기억 T 세포와 중화항체

바이러스 감염이나 백신 접종으로 유발되는 적응면역에는 중화항체와 기억 T세포 면역반응이 있다. 중화항체는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과정 자체를 막는다.
반면 기억 T세포는 감염을 차단하지는 못하지만,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해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